`InterruptedException`은 Java에서 스레드가 대기 상태에 있거나 작업을 수행하고 있을 때 다른 스레드에 의해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예외입니다. 다른 스레드에서 `Thread.interrupt()` 메서드를 호출하여 해당 스레드의 인터럽트 상태를 설정하면, `InterruptedException`이 발생하게 됩니다.
**발생 원인:**
`InterruptedException`은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:
1. **`Thread.sleep()` 등 대기 중인 스레드를 다른 스레드가 인터럽트한 경우**: 다른 스레드가 `interrupt()` 메서드를 호출하여 대기 중인 스레드의 블록을 해제하고 `InterruptedException`을 발생시킵니다.
```java
try {
Thread.sleep(1000); // 다른 스레드에 의해 인터럽트될 수 있음
} catch (InterruptedException e) {
// InterruptedException 처리
}
```
2. **`Object.wait()` 또는 `Thread.join()` 등 대기 중인 스레드를 다른 스레드가 인터럽트한 경우**: 다른 스레드가 인터럽트하여 대기 중인 스레드의 블록을 해제하고 `InterruptedException`을 발생시킵니다.
```java
Object lock = new Object();
synchronized (lock) {
try {
lock.wait(); // 다른 스레드에 의해 인터럽트될 수 있음
} catch (InterruptedException e) {
// InterruptedException 처리
}
}
```
**해결 방법:**
`InterruptedException`은 스레드가 인터럽트되어 중단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처리를 제공합니다. 이 예외를 처리하고 대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1. **`InterruptedException`을 적절히 처리**: `InterruptedException`은 스레드의 인터럽트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대기 중인 스레드의 작업을 취소하거나 정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```java
try {
Thread.sleep(1000);
} catch (InterruptedException e) {
// 스레드의 인터럽트 상태를 확인하고 처리
Thread.currentThread().interrupt(); // 인터럽트 상태를 재설정
//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 (예: 작업 취소, 정리 등)
}
```
2. **`InterruptedException`을 무시하고 진행할 경우**: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, 예외를 잡은 후 아무 작업을 하지 않거나 로깅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
```java
try {
Thread.sleep(1000);
} catch (InterruptedException e) {
// 인터럽트를 무시하고 아무 작업도 수행하지 않음
// 또는 로깅 등의 처리
}
```
`InterruptedException`은 스레드의 인터럽트 상태에 따른 적절한 대응과 처리를 제공하여 스레드 간 상호작용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스레드 작업 중 인터럽트에 대한 적절한 예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JAVA > EXCEP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umberFormatException 발생원인과 해결방법 (0) | 2023.07.21 |
---|---|
InterruptedException Cause and solution (0) | 2023.07.21 |
IllegalArgumentException Cause and solution (0) | 2023.07.21 |
IllegalArgumentException 발생원인과 해결방법 (0) | 2023.07.21 |
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발생원인과 해결방법 (0) | 2023.07.21 |